프로그래밍 공부
2022-08-04 교육 본문
Peer의 구성요소 - Smart Contract, Ledger(분산원장)
World state(현재값)가 변경되면 Blockchain(이력)이 남음
블록체인 컴포넌트
Ledger - 원장(이력) 이것이 분산되어 저장됨으로 투명성을 확보
Smart Contract -
Consennsus Nerwork - 분산되어 수행됨(합의 네트워크)
Menbbership - 인증서를 기반으로 한 허가 관리(퍼블릭에서는 구현하지 않음 프라이빗에서 신분증명을 위해 사용됨)
Event - 트랜잭션의 처리를 확인
Systems management - 시슴템 관리에 있어서 관리자의 역할이 포함된 네트워크
Wallet -블록체인 ID(=지갑주소)를 발급하며 해당 ID와 관련된 모든 거래를 추적하는 App이며 이는 곧 블록체인에 접속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이해해야 한다.
Systems intergration - 시스템 통합이 쉽다(분업적으로 디자인함)
동기화 구조 - 효율적이고 안정적임 다만 범위가 넓으면 비효율적임
비동기화 구조 - 비효율적이고 불안정함 범위가 넓을때 효율적
블록체인에서의 어플리케이션
블록체인 네트워크 - geth(public), hyperledger fabric(private)....등등
블록체인 스마트컨트랙트 - solidity, chaincode..등등
웹서비스 - 웹서버, 웹클라이언트, 데이터베이스...등등
웹에서 블록체인하고 연동시키는 방식 - 지갑, 트랜젝션 조회, 처리
블록체인은 리소스가 부족함 - 전력, 센서 등등....
javascript에서 안정성 up - typescript(보통 기업용)
'2022 블록체인 지역특화 프로젝트 과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-08-11 공부 (0) | 2022.08.16 |
---|---|
2022-08-10 공부 (0) | 2022.08.16 |
2022-08-09 공부 (0) | 2022.08.16 |
2022-08-08 공부 (0) | 2022.08.16 |
2022-08-05 교육 (0) | 2022.08.05 |